통합검색
  • 뉴스

    • 5연속 금리 동결한 한은…"인상 요인 여전히 많다"

      [앵커]한국은행이 오늘(24일) 또 한번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물가 압력이 다소 완화된 여건에서 대내외 경기와 금융 시장이 불안한 만큼 상황을 좀 지켜보자는 건데요.이런 불확실성을 근거로 이창용 총재는 금리 인상 요소는 많다며 ‘매파적’ 시각을 유지했습니다. 김미현 기자입니다.[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50%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2월과 4월, 5월, 7월에 이어 다섯 차례 연속 동결 결정을 내린 겁니다.물가 오름세가 다소 안정된 가운데, 미국의 추가 긴축 여부와 가계부채 상황이 불확실하니 금리를 묶고 일단 ..

      금융2023-08-24

      뉴스 상세보기
    • [이슈플러스] "위험수위 넘었다"…1,900조원 향해 달리는 가계부채

      ​ [앵커]가계부채 흐름이 심상치 않다는 소식 몇차례 전해드렸는데요. 가계부채가 이제는 관리 수준을 넘어섰다는 진단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통화당국인 한국은행도 이제 '위험 경고음'을 높이는데요,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해결책은 있는지 금융부 민세원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네, 안녕하세요. [앵커]먼저 현재 가계부채가 어떤지 짚고 넘어가야겠죠.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건가요? [기자]네. 올 2분기 이후부터 지표들이 점점 심각성을 나타내고 있는데요,대표 지표로 ..

      금융2023-08-24

      뉴스 상세보기
    • 셈법 복잡한 한은 금리 정책…10월 분수령

      [앵커]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2월부터 계속 3.5%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외환시장 변동성을 막고 가계부채 안정화를 위해서는 금리 인상이 필요하지만,그러자니 각종 경제지표들이 악화돼 섣불리 금리를 올리기 어려운 딜레마에 빠져있습니다. 오는 목요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 전망을 금융부 김미현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김 기자, 이번 주에도 한은이 금리를 동결할 거란 전망이 많은데요. 자세한 상황 설명 주시죠.[기자]네 시장은 한국은행이 이번 회의에서도 금리를 현 수준 3.5%로 유지할 거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금융2023-08-22

      뉴스 상세보기
    • 한은 대출제도 개편…유동성 공급 늘린다

      [앵커]최근 초고속 파산했던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 SVB 사태로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 이른바 '뱅크런'이 문제가 됐죠. 한번 뱅크런이 터지면 금융시장 전반으로 자금 경색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위험이 큰데요.이런 대규모 유동성 위기를 미리 막기 위해 한국은행이 대출 제도를 손보기로 했습니다. 김미현 기자입니다.[기자]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늘(27일) 은행을 포함한 예금취급기관 대출제도의 개편안을 의결했습니다.[인터뷰]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미 실리콘밸리 사태 계기로 부각됐던 디지털뱅크런 가능성에 대비해서 예금취급기관..

      금융2023-07-27

      뉴스 상세보기
    • 韓美 금리차 2%p 시대…韓 기준금리 항방은

      [앵커] 미국이 예상대로 지난밤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했습니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은 여전히 긴축 기조 유지에 힘을 실었는데요, 이제 시선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향방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민세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9월에 기준금리 동결·인상 모두 가능하다"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지난 밤(현지시간 26일) FOMC 회의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발언했습니다. 그간 '추가 금리 인상'을 확신하던 '강력한 매파 기조'에선 한발 물러난 모습이지만, 물가에 대한 우려는 여전했..

      금융2023-07-27

      뉴스 상세보기
    • 기준금리 4연속 동결…“하반기 물가 다시 오른다”

      [앵커]한국은행이 오늘(13일) 현 3.50%의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최근 다소 둔화세를 보이는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건데요, 하지만 하반기 물가와 가계부채, 미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등으로 추후 기준금리를 인상 가능성을 열어 뒀습니다. 민세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늘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0%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2, 4, 5월에 이어 4연속 동결 입니다. 이번 결정은 우선, 최근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2%대에 접어드는 등 다소 진정되고 있는 물..

      금융2023-07-13

      뉴스 상세보기
    • 대한상의, 제주포럼 개최…"대전환시기 경제 해법 모색"

      [서울경제TV=박세아기자] 대한상공회의소는 제주 해비치 호텔&리조트에서 '제46회 제주포럼’의 막을 올렸다고 12일 밝혔다. 12일부터 15일까지 3박4일로 열리는 대한상의 제주포럼은 1974년 시작된 경제계 최초·최대 하계 포럼이다.    이번 포럼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 장인화 부산상의 회장, 이재하 대구상의 회장, 심재선 인천상의 회장,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이윤철 울산상의 회장 등 상의 회장단과 이형희 SK 커뮤니케이션위원장, 손재선 DI동일 대표, 이찬의 삼천리 대표..

      산업·IT2023-07-12

      뉴스 상세보기
    • 美 "7월 금리인상"…고민 더 깊어진 한은

      [앵커]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물가 둔화 흐름에도 "확신이 없다"며 또 짙은 긴축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따라서 이번 달 금리 인상에 이어 두 차례 연속 가능성 까지 나와, 금리 인상을 멈춘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질 전망입니다. 김미현기자입니다.[기자]한국시간으로 오늘 새벽 공개된 지난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회의록을 보면 거의 모든 연준 위원들이 연내 추가금리 인상에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과열된 노동시장 영향으로 물가가 연준의 목표치인 2%가 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거란 전망인데, 연준이 앞으로도 긴축을 이..

      금융2023-07-06

      뉴스 상세보기
    • [이슈플러스] 위기감 높아진 상호금융…감독·제재권 확대될까

      [앵커]지난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금융권인 ‘비은행 금융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한 발언이 상당히 화제가 됐습니다. 이 발언 이후 검사권한보다는 ‘비은행업권 상황’으로 관심이 모이고 있는데요. 금융부 민세원 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네 안녕하세요. [앵커]이 총재 발언이 상당한 파장을 가져왔다고 하던데 어떤 내용인가요? [기자]이 총재가 지난 12일 ‘한국은행 창립 73주년 기념사’에서 “비은행 금융기관의 중요도와 시스템..

      금융2023-06-22

      뉴스 상세보기
    • '경기와 물가' 두고 고민…기준금리 3연속 동결

      [앵커]한국은행이 오늘(25일)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침체된 '경기'와 더딘 '물가' 하락세를 모두 고려한 조치였는데요, 예상보다 늦어지는 국내 경제 회복에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하향 조정했습니다. 민세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세 번 연속 동결했습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늘(25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만장일치로 3.50%의 현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이로써 지난 1월부터 오는 7월까지 기준금리 3.50% 시대가 장기간 이어지게 ..

      금융2023-05-25

      뉴스 상세보기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