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권고' 은행 공동점포 1년간 '1곳'…고령층 소외에 '뒷짐만'

금융 입력 2024-02-05 13:28:10 수정 2024-02-05 15:46:37 김도하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우리은행]

[서울경제TV=김도하 기자] 금융당국이 점포 감축에 나선 은행들에 대해 '공동점포' 등 대안 마련을 주문한 지 1년 가까이 됐지만, 지금까지 새로 생긴 공동점포는 고작 1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별 점포가 급속히 줄고 있는 가운데 대안으로 제시된 공동점포 개점도 지지부진해 인터넷에 서툰 고령층이 은행 업무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5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5대 시중은행의 점포 수는 3,931개로 3년 전인 2020년과 비교해 무려 600여 곳이 줄었다. 올해에도 점포 30여 곳이 문을 닫을 예정이다.
 

은행 점포 감축에 따른 은행 접근성은 인구밀집도가 낮은 지방에서 더욱 악화했다. 지방의 은행 점포 감소율은 2020~2022년 16.4%로, 서울 및 수도권(14.4%)과 비교해 은행 접근성이 확연히 떨어졌다.
 

4대 은행의 현금지급기(ATM) 수도 최근 5년 새 30% 가까이 줄었다. 이 때문에 노인 등 고령층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경기도 부천에 사는 70대 김 모 씨는 "인터넷 사용이 어려워 평상시 은행에 찾아가 은행 일을 보고 있다"며 "그런데 은행이 집에서 점점 멀어져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고 하소연했다.
 

은행 점포 수 축소에 이어 ATM기 수도 급감하면서 금융 소비자들의 불만이 증가하자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4월 부랴부랴 은행 점포 축소에 따른 대책을 내놨다.
 

금융위는 당시 같은 영업 구역에서 은행 점포를 폐쇄할 경우 공동점포와 같은 대체 점포를 마련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은행 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발표했다.
 

공동점포는 복수의 은행이 동일한 공간에서 영업 공간을 절반씩 사용하며 대면 영업하는 점포를 말한다. 여러 은행의 자동화 기기로 구성한 공동 자동화 점포와는 다른 개념이다.
 

고객들은 한 곳에서 여러 은행 업무를 볼 수 있어 편하고, 은행들은 몸집을 줄여 효율적으로 점포를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한 지붕 아래 두 집 살림'은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쉽지 않다. 은행 특성상 개인정보 보호와 중요 증서 보안, 영업 비밀을 생명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금융위의 권고 이후 생긴 공동점포는 지난해 8월 출범한 국민은행과 씨티은행 대전중앙지점 1곳뿐이다. 올해도 공동점포 개점 계획은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위 방침은 이미 정리해야 할 점포를 대부분 정리한 뒤 나온 터라 현재 점포 감축 계획이 시급한 은행은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금융위가 말한 대체점포 방안 역시 현실과는 동 떨어진 부분이 있어 공동점포의 경우는 확산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조혜진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공동점포는 좋은 아이디어긴 하지만 은행들의 자율성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개점하기까지 어려운 면이 있다"면서 "금융당국과 은행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방법을 모색하고 실현성 있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itsdoha.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도하 기자 금융부

itsdoha.kim@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