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판매 늘자…車업계 “사업 전략 바꾼다”

산업·IT 입력 2024-02-02 07:00:00 김효진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하이브리드 판매가 늘자 사업전략을 수정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전기차보다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선택하는 수요가 늘면서 전동화 전환도 다소 주춤해진 모습인데요. 상황이 이렇자 더 이상 하이브리드를 만들지 않겠다고 선언했던 일부 자동차 회사는 다시 이 모델 생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효진 기자와 짚어보죠.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제너럴모터스(GM)의 하이브리드 차 재출시 발표가 지금 분위기를 잘 말해주고 있는 거 같아요. 어떤 배경이 깔려있는 겁니까?

[기자]
전기차 판매가 주춤한 반면 하이브리드를 찾는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GM은 현지시간 30일 실적 발표 콘퍼런스 콜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차종을 북미 시장에 재출시한다는 계획을 내놨는데요.

기존에 북미에선 하이브리드 차를 내놓지 않겠다는 전략을 과감히 튼 겁니다.
이날 메리바라 CEO는 “엔진과 배터리를 병행하는 배터리 PHEV가 엄격해지는 연방 연비 규정을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북미에서 판매하는 일부 차량에 이 시스템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GM은 2010년대 쉐보레 볼트 PHEV를 출시했었거든요. 판매부진 등을 이유로 2019년 초에 생산을 중단한 바 있습니다.

[앵커]
이외에 어떤 기업들이 하이브리드 차 전략을 새로 짜고 있나요?

[기자]
사실, 다수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지금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인데요.

포드는 향후 5년 내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이 4배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거든요. 전기차 생산을 줄이고 대신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을 늘리겠다는 전략을 세웠습니다.

특히 전 차종에 하이브리드 모델을 추가한다는 방침을 내놨습니다.

토요타는 이미 시장 상황에 따라 내연기관차,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포트폴리오를 골고루 갖추고, 각 시장 특성에 맞춰 전략 차종을 집중하는 전략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총 342만대의 하이브리드차를 판매했는데요. 이는 내연기관차 판매량인 367만대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전동화가 상대적으로 느린 토요타가 하이브리드차를 통해 전동화 기반을 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현대차도 하이브리드 차량을 전동화 전환 전략에 이미 포함했는데요. 올해 하이브리드 판매량을 48만대까지 끌어올리고, 전체 매출의 11%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우기도 했습니다.

현대차는 연간 하이브리드 성장률을 28%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앵커]
하이브리드 판매가 늘고 있는 건 국내시장을 비롯해 전 세계적인 추세인데요. 실제로 얼마나 늘었나요?

[기자]
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팔린 하이브리드 차는 120만대정도 되거든요. 전년과 비교해 65%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유럽에서는 같은 기간 팔린 신차 중 하이브리드 차 비중이 25.8%로 전년(22.7%) 대비 커졌고요. 중국에서도 올해 PHEV 성장률 전망치가 24.8%로 전기차 성장률 전망(23.9%)을 앞질렀습니다.

국내 시장도 분위기는 비슷했는데요.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하이브리드 차 판매는 39만대 가량 됐습니다. 전년보다 43% 증가한 수치인데요.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를 찾는 수요가 늘어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앵커]
전 세계적인 전동화 흐름은 맞는데, 너무 서둘렀던 걸까요. 전동화 전환이 생각보다 더딘 이유는 뭘까요?

[기자]
당장 전기차 선택을 꺼리는 이유로 인프라 부족이 꼽히는데요.
급속충전시설이 부족하고, 완충시설은 아파트 단지마다 설치돼 있긴 하지만 수도 적고, 속도도 느려서 다른 차가 충전할 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주행거리가 짧은 것도 기피 이유인데요. 지방이나 장거리 주행을 하려면 중간에 충전을 할 수밖에 없는데, 전국 200여 곳 휴게소에서 이 수요를 감당하긴 어려운 상황입니다.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도 꾸준한 상황이고요.
 
비싼 차량 가격도 구매를 주저하게 만드는데요. 보조금을 받지 않으면 사기 힘들 정도의 초기 비용이고요.
여기에 화재 등의 안전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소비자들의 신뢰도 떨어지고 있어 안전 정책과 가이드라인 수립이 필요하단 목소리도 나옵니다.

[앵커]
그렇군요.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김효진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자]
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효진 기자 산업1부

hyojeans@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