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신도시 선도지구 선정기준 발표…"주민 동의율 높아야"

부동산 입력 2024-05-22 17:43:00 수정 2024-05-22 19:10:03 이지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주택 유형 상관없이 고득점순으로 선정

11월 선도지구 최종 확정…"2027년 첫 착공 추진"

이주대책은 '신규공급 확대'와 '정비시기 분산'

[앵커]

정부가 오늘 1기 신도시 통합재건축 선도지구 기준과 선정 규모를 발표했습니다. 규모는 1기 신도시 정비 대상 물량의 10~15% 수준이며, 선정 기준은 주민들의 동의율에 달려있다는 게 큰 골자입니다. 이지영 기자입니다.


[기자]

국토교통부가 오늘(22일) 1기 신도시 통합재건축 선도지구 기준과 선정 규모를 발표했습니다.


[싱크]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올해는 분당 8,000호, 일산 6,000호, 평촌·중동·산본 4,000호 내외에서 선도지구를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지역 여건에 따라 신도시별로 1~2개 구역을 추가로 선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는 1기 신도시 정비 대상 물량의 10~15% 수준입니다.


선정기준은 국토부가 제시하는 '표준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합니다.


주민 동의여부가 60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사실상 이 동의율이 선정방식을 가를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지자체가 지역 여건을 고려해 세부 평가기준과 배점을 조정해서 선정할 수 있습니다.


선정 방식은 사업 유형과 주택 유형에 상관없이 단일 기준에 따라 고득점순으로 선정합니다.


추진 일정은 다음 달 선도지구 공모를 시작으로 오는 11월 지자체가 선도지구를 최종 선정합니다.

내년까지 특별정비구역 지정을 완료하고, 2026년엔 사업시행계획 수립, 2027년에는 첫 착공을 추진하겠다는 게 정부 구상입니다.


이주대책으로는 신규 공급 확대, 정비시기 분산 등의 방안을 내놨고, 시장 동향을 상시 모니터링하며 전세시장 불안 우려가 커질 시에는 인허가 물량을 관리하는 등 안정화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재건축 선도지구로 선정되면 안전진단 완화 또는 면제, 용적률 상향 등 각종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1기 신도시는 2030년 입주를 목표로 재건축이 추진됩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취재 허재호]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지영 기자 산업2부

easy@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