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4월 위기설…제2금융권 부동산PF 구조조정 '속도'

금융 입력 2024-04-11 17:43:14 수정 2024-04-11 23:33:51 김도하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총선이 마무리되면서 금융권의 부동산PF 위기설이 다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고위험 PF 비중이 높은 제2금융권은 연체에 더욱 취약한 상황인데요. 금융당국은 부동산PF 구조조정 활성화를 위해 지난 8일 증권사를 시작으로 오늘(11일)은 보험업계와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김도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총선 이후 건설사 줄도산이 이어질 수 있다는 이른바 ‘4월 위기설’이 다시 고조되자 금융당국이 서둘러 금융업권의 부동산PF 사업장 현황을 점검하고 나섰습니다.


당국은 금융권에 제도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PF 사업장의 유동성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오늘 보험업계와 간담회를 갖고 PF 구조조정 활성화를 위한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금감원은 보험사들에 회생 가능성이 있거나 유망한 사업장에 대해선 사업 초기 단계라도 자금 지원을 해줄 것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보험업계는 제도적 인센티브로 신지급여력제도(K-ICS) 위험계수 완화와 요양시설 임차 허용 등을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금감원은 다음 주까지 여신전문금융회사와 저축은행 등 전 금융업권과 부동산 PF 관련 릴레이 면담을 가질 예정입니다.


캐피털사와 저축은행의 경우 부동산 PF 대출의 연체가 급증해 강력한 부실 정리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캐피털사와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잔액은 약 46조원. 금융사의 자기자본과 비교하면 모두 100%를 훌쩍 뛰어넘는 상황입니다.


더욱이 장기 연체 비중도 작지 않아 캐피털사와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에 비교하면 손실흡수력이 충분하진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싱크] 원대식 /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저축은행을 보면 고정자산이 전체의 10%가 넘거든요. 이걸 정리하지 않고 계속 버틴다고 그게 나중에 해결된다고 보기가 쉽지 않죠." 


이번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차지한 야당이 부동산PF 구조조정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이는 만큼 과감한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도하 기자 금융부

itsdoha.kim@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