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 뉴스

    • 소공연, 대출 상환유예 추가연장 촉구…“회복기간 고려해야”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가 오는 9월 종료되는 소상공인 대출 상환유예 조치 제도의 추가 연장을 정부에 촉구한다는 의견을 16일 밝혔다.정부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상공인의 부담 완화를 위해 2020년 4월부터 대출 특별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를 시행했고, 만기연장은 2025년 9월까지 자율협약에 의해 연장이 가능하다. 반면 상환유예는 희망기업을 대상으로 추가 연장한 9월 말까지를 끝으로 지원이 종료돼, 10월부터 기존 대출에 대한 정상상환이 시작될 예정이다.문제는 소상공인이 아직 정상적으로 대출 상..

      산업·IT2023-05-16

      뉴스 상세보기
    • 4월 코픽스, 0.12%p 하락…주담대 변동금리 내린다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ㆍ자금조달비용지수)가 한 달 만에 다시 하락했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4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월(3.56%)보다 0.12%포인트 하락한 3.44%로 집계됐다. 앞서 3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4개월만에 반등했지만,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이는 한국은행 기준금리(3.50%) 아래다. 신규 코픽스가 한은 기준금리를 밑도는 것은 2010년 공시를 시작한 이후 2013년 4월, 2014년 7월 이..

      금융2023-05-15

      뉴스 상세보기
    • 매력 잃은 은행권 예금금리…"금리인상 어렵다"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앵커]은행권 예금금리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자금이탈이 계속 되고 있다는 보도, 여러번 전해드렸는데요, 최근 금리 인상 환경이 급격하게 사라지고 있어 이른바 '머니무브'가 지속될 거란 전망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자]은행권 예금 규모가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습니다.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지난달 정기예적금 잔액은 805조7,827억원으로, 전달보다 4,443억원 느는데 그쳤습니다.지난 3월 10조원 넘게 증발했던 것과 비교하면 분명 증가세지만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본다면 2..

      금융2023-05-08

      뉴스 상세보기
    • IMF “韓 성장률 1.5%…섣부른 긴축 완화 피해야”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앵커]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내놨습니다. 다른 국제기구들과 마찬가지로 1.5%에 그칠 것이라 내다봤는데, 전 세계 불어닥친 반도체 업황 침체가 가장 큰 영향을 줄 것이란 분석입니다. 김수빈 기잡니다.[기자]크리슈나 스리니바산 IMF 아시아태평양 국장이 오늘(4일) '제 56차 아시아개발은행(ADB) 총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의 경제 전망을 예측했습니다.먼저 IMF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에 대해 보수적인 전망치를 제시했습니다.[싱크] 크리슈나 스리니바산 IMF 아시아태평양 국..

      금융2023-05-04

      뉴스 상세보기
    • 정부‧한은 긴급거시금융회의…“변동성 확대 우려”

      [서울경제TV=최재영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일(한국시간)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에 나서면서 정부와 한국은행이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를 우려하고 경계감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을 모았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오전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가 열리는 인천 송도에서 관계기관 합동 비상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참석 했다.   회의는..

      금융2023-05-04

      뉴스 상세보기
    • 금리 인하에 선 그은 파월 발언에 뉴욕증시 ‘후퇴’…나스닥 0.46%↓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뉴욕증시 3대 지수가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금리 인하 가능성 일축에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3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0.29포인트(-0.80%) 하락한 3만3,414.24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8.83포인트(-0.70%) 내린 4,090.75을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도 55.18포인트(-0.46%) 하락한 1만2,025.33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3일) 시장은 FOM..

      증권2023-05-04

      뉴스 상세보기
    • 이창용 한은 총재 “금리인하 논의는 시기상조”

      [서울경제TV=최재영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긴축통화정책과 관련해 피벗(통화정책 전환) 가능성과 금리인하를 논의하기는 ‘시기상조’라고 못박았다.   이 총재는 3일 오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 총회에서 미 경제방송인 CNBC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금리인하 논의에 대해 “결국 데이터에 달려 있다”며 “주요국 통화정책 방향도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차츰 둔화되고 안정세..

      금융2023-05-03

      뉴스 상세보기
    • 뉴욕증시, 은행 불안 지속에 일제히 하락…나스닥 1.08%↓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뉴욕증시 3대 지수가 JP모건의 퍼스트리퍼블릭 인수에도 은행 불안이 지속되며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2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67.17포인트(1.08%) 하락한 3만3,684.53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8.29포인트(1.16%) 내린 4,119.58을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도 132.09포인트(1.08%) 하락한 1만2,080.51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2일) 시장은 은행주들의 하락에 시..

      증권2023-05-03

      뉴스 상세보기
    • 여전한 금리 '부담'…금융 혜택 단지 주목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두 차례 연속 동결했지만 수요자들에겐 여전히 금리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금융 혜택 단지들이 주목 받고 있다.2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작년 7월 6.3%에서 지난달 4.2%로 차츰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한국은행이 경기 침체를 우려해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발표하면서 수요자들의 금융 부담이 한층 감소했으나, 아직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지는 아직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실제 미국의 경우 지난해 4차례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

      부동산2023-04-27

      뉴스 상세보기
    • ‘트레이드 오프’ 고심 커진 이창용…정책 변화줄까

      [앵커]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년간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고 숨가쁘게 통화정책을 펼쳐왔는데요. 그런데 실리콘밸리은행 사태 이후 금융안정과 물가를 동시에 챙겨야 하는 상황이 길어지면서 ‘트레이드 오프’ 상황을 맞이했다는 시각이 나옵니다. 이 총재도 이런 고심을 드러냈는데요 김미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이창용 총재는 어제(24일) 은행장들과 만난 자리에서 "최근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이 상충되는 상황에서 통화정책을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지가 국제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며 "지난주 국제회의에서 이와 관련한 심도있는..

      금융2023-04-25

      뉴스 상세보기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