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 양·음극재 ‘ISO 14067’ 탄소발자국 검증…"지속가능한 생산체계 구축"

산업·IT 입력 2024-05-23 14:29:21 황혜윤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원료채굴, 운송, 생산 등 제품 수명주기 전 과정 탄소배출량 산정

EU 규정, 2025년부터 배터리 제품 탄소발자국 측정·신고 의무화

탄소배출량 감축 위한 공정분석, 에너지 절감기술 도입 등에 활용

지난 22일 서울 강남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ISO 14067’ 검증 수여식에서 검증기관인 송지영(왼쪽) 한국품질재단 대표와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에너지소재사업부장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포스코퓨쳐엠]

[서울경제TV=황혜윤 인턴기자] 포스코퓨처엠은 지난 22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공인 검증기관인 한국품질재단으로부터 양극재 PN6, PN8과 천연흑연 음극재에 대해 국제표준 ‘ISO 14067’ 탄소발자국 검증서를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PN6과 PN8은 포스코퓨처엠이 제조하는 니켈 함량 각 60%, 80% 이상인 양극재 제품이다.

탄소발자국은 원료채굴, 운송, 생산 등 제품 수명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의미한다. ISO 14067은 2018년 국제표준화기구(ISO)가 탄소발자국의 객관적 측정을 위해 제정한 국제표준이다. 한국품질재단은 기업 또는 단체의 탄소 배출량 측정 과정에서 국제표준 ISO 14067 준수 여부를 평가해 탄소발자국 검증서를 발급하고 있다.

탄소발자국은 2006년 영국의회 과학기술처에서 최초로 제안한 이후 지속가능한 소비·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올해 2월 시행된 유럽연합(EU)의 배터리 규정에 따르면, 2025년부터 배터리 제품 탄소발자국 측정 및 신고가 의무화돼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사실상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업활동이 어려워진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양·음극재 탄소발자국 검증을 통해 이해관계자들에게 탄소배출량 관리체계에 대한 투명한 정보공개로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뿐만 아니라 양·음극재 탄소발자국 검증 자료를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생산공정 분석, 에너지 절감기술 도입 등에 활용하고, 향후 하이니켈 단결정 NCMA·NCA 양극재 등 차세대 제품을 대상으로도 탄소발자국을 관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포스코퓨처엠은 사업장 내 태양광 발전설비 도입을 확대하고 있으며 저탄소 연료 전환, 공정 개선을 통한 에너지 효율 향상 등을 적극 추진해 2035년에는 배터리소재 사업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mohyeyu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