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신용 특례보증 당근책에도 금융사는 ‘냉담’

금융 입력 2024-01-11 08:00:00 김도하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출시 한달만에 한도가 끝나 '오픈런 대출'로 불렸던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은 지금도 관심이 적지 않은데요. 금융당국은 올해도 대출공급을 이어가겠다고 했지만 정작 판매처인 금융사들은 씁쓸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김도하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은 신용평점 하위 10%의 최저신용자가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정책금융상품입니다. 연체 이력이 있어도 대출 보증을 해주기 때문에 연 15.9%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대거 몰리면서 한달만에 한도가 소진되기도 했습니다.

 

현재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을 취급하는 금융사는 지방은행과 저축은행을 포함해 모두 11.

 

금융위원회는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한 약 2,800억 원 규모를 공급한다는 계획입니다.

 

문제는 취급하는 금융사가 여전히 부족한건데, 그마저도 수도권에만 집중됐고 서울에서도 4곳에 불과해 공급망 부족 현상은 올해도 여전합니다.

 

금융당국은 참여 금융사를 늘리기 위해 지난해 연말 특례보증료율을 1%포인트 낮춰 취급 금융사의 수익을 더 늘리도록 했습니다.

 

현재 대출금리 연 15.9%를 기준으로 서민금융진흥원이 7.9%~8.9%를 가져가는 구조인데 수익을 1% 더 늘려주는 셈입니다.

 

당국의 인센티브에도 금융사의 반응은 여전히 차갑습니다.

 

서금원이 100% 보증을 하기 때문에 이른바 돈 떼일 일은 없지만, 현 구조상 판매·관리비, 건전성 관리 비용을 포함하면 오히려 '역마진'이라는게 취급 금융사들의 설명입니다.

 

금융사들이 이 상품 취급을 꺼리는 가장 큰 배경은 '연체율'입니다.

 

신용도가 낮고 이미 연체 기록을 보유하고 있어 위험성이 더 높다는 겁니다. 2금융권은 가뜩이나 나빠지고 있는 '연체율'을 끌어올리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상생금융으로 생각해야 하지만 연체율 같은 '수치'를 해당 금융사들이 안고 있어 사실상 불편한 상품"이라고 말했습니다.

 

금융권에서는 서민금융을 지원하는 상품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인센티브 제공도 중요하지만 연체율 같은 부담을 낮추는 요인을 확대하는 것이 참여를 늘릴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gmail.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도하 기자 금융부

itsdoha.kim@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관련뉴스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