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현 중기부 차관, 中企 초기 판로 위해 공공구매제도 정책방향 제시

산업·IT 입력 2023-04-26 16:55:50 윤혜림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핵심부품 공급‧생산 가능한 제조기업 공공조달 우대 추진

조주현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오른쪽 3번째)이 26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3’ 개막식에서 테이프커팅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조주현 중기부 차관이 26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3’ 개막식에 참석해, 중소기업 공공구매제도 성과와 주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조주현 차관은 “지난해 공공기관이 구매한 중소기업제품은 119조원 규모로 약 12만개 중소기업이 공공조달에 참여했다”면서, “특히 공공기관에서 기술개발제품과 창업기업제품 구매가 늘어 연구개발기업과 창업기업의 판로 개척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엑스포에 참여한 561개 기업 중 21개사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도’와 ‘공공조달 상생협력제도’를 통해 공공조달시장에서 판로를 개척한 대표적인 기업들이다.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도’는 창업기업 또는 공공조달 경험이 없는 기업 등이 생산한 기술개발제품을 공공기관에 납품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가 공공기관의 구매의사결정을 대행해주고 시범구매를 지원하는 제도이며, 2018년 도입 이후 작년까지 853개 기술개발제품이 이 제도를 통해 공공기관에 납품됐다.


‘공공조달 상생협력제도’는 기술력은 있으나 생산시설이나 공정기술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협력기업과 상생협력을 통해 제품을 생산하면 공공조달시장에 납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서, 2020년부터 시행하여 259개 기업의 311개 제품을 지원했다.


조주현 차관은 “중소기업 공공구매제도는 마케팅‧판로에 어려움을 겪는 연구개발기업이나 창업 초기기업 등이 공공조달시장을 통해 초기 판로를 열 수 있도록 돕는 데 의의가 있다”면서,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이 공공조달시장에 첫 걸음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조주현 차관은 최근 국가 간 보호무역주의 확산을 우려하며, “자체적으로 핵심부품 공급‧생산 능력을 갖춘 중소제조기업이 공공조달시장에서 우대받을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면서 올해 안으로 관련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grace_r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윤혜림 기자 산업1부

grace_rim@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