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인하우스 팩토리 ‘네모개러지’ 개소…“이동 혁신 이룰 것”

산업·IT 입력 2023-01-16 09:35:54 윤혜림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미래 모빌리티 관련 하드웨어 개발을 위한 ‘인하우스 팩토리’ 구축

연면적 2,734㎡, 6개층 규모로 조성…전 과정 수행 가능한 설비 갖춰

네모개러지 개소식에 참여한 카카오모빌리티 임직원.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 미래이동체 연구 및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연구소 ‘NEMO(Next Mobility) Garage(네모개러지)’를 개소했다고 16일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율주행 이동체 연구와 디지털트윈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연구 설비 및 인력을 네모개러지로 한 데 모아 ‘인하우스 팩토리'를 구축했다.


그동안 플랫폼 기술 개발에 주력해 온 것에서 한 단계 나아가, 미래 이동체와 인프라 등의 하드웨어 개발로까지 연구 영역을 확대하고, 이동의 혁신을 이루기 위한 ‘미래 모빌리티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네모개러지는 6개층 연면적 2,734㎡ 규모로 조성됐다. 3D프린팅팜, PCB(인쇄회로기판) 프린터, 역설계 스캐너 등을 이용해 하드웨어 프로토타입 및 부품 제작이 가능한 ▲메이커 스페이스, 데이터 보안 및 서비스 구현 시간 단축을 위한 자체 ▲데이터 스토리지 인프라,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데이터 취득부터 업데이트까지 디지털트윈 솔루션 일체 개발이 가능한 ▲디지털트윈 팩토리를 갖추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 지도구축용 맵핑 로봇의 성능 실험과 실내외 복합 측위기술 검증, 센서 캘리브레이션(보정) 등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갖춰 설계  → 프로토타이핑 → 검증에 이르는 전 과정을 한 자리에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 산하 관련팀이 네모개러지에 상주하며 카카오 T 플랫폼에 접목 가능한 다양한 이동체를 연구하고, 디지털트윈 제작을 위한 기술 개발과 사업 협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고정밀지도 구축을 위한 MMS(모바일 맵핑 시스템) 장비 ‘아르고스(ARGOS)’를 필요한 환경별로 최적화해 자체 제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다양한 파트너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디지털트윈 생태계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향후 네모개러지를 통해 엣지 인프라, V2X(차량 사물간 통신), 자율주차, 인프라 기반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 등의 스마트 모빌리티 인프라 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PBV(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 차량),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차량) 등 스마트 모빌리티 이동체 개발로까지 연구 영역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와 생태계 구축을 주도해 온 카카오모빌리티가 플랫폼 기업 최초로 미래모빌리티 기술에 특화된 자율주행 및 디지털트윈 전용 연구소를 확보하게 됐다”며 “미래이동기술과 디지털트윈에 대한 과감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혁신을 주도하고,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 기회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grace_r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윤혜림 기자 산업1부

grace_rim@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