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업 대다수 오픈이노베이션 도입 관심 없다

전국 입력 2022-10-06 09:59:45 김정옥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응답기업 88.7%, 오픈이노베이션 개념 낯설어

오픈이노베이션 ‘활용계획 있다’고 응답한 기업 3.8% 불과

부산상의 전경.[사진 제공=부산상의]

[부산=김정옥 기자]최근 외부로부터 기술과 정보를 도입하는 동시에 내부자원을 외부와 공유하면서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전략) 도입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개방형 혁신전략으로 지역 기업 대다수는 이에 대한 개념조차 낯설어 하고 있어 인식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부산상공회의소는 6일 지역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부산 기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인식 및 활용 실태 조사자료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 292개 중 전체의 88.7%에 해당하는 259개 기업이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해 전혀 모른다고 답했다.

 

그나마 알고 있다고 한 33개 기업들 중에서도 개념 정도만 알고 있는 초보적 수준이 23개사로 가장 많았다.

 

혁신 사례나 유형을 알고 있거나 구체적인 활용 방법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10개사로 극소수에 불과했다.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한 인식이 낮다 보니 실제 이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도 극히 드물었다.

 

조사 기업 중 현재 오픈이노베이션을 활용 중이거나 향후 활용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3.8%에 불과했고 나머지 96.2%는 별다른 활용 계획조차도 없었다.

 

활용 계획이 없다고 밝힌 기업에 대해 그 이유를 물은 결과 관심 자체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이 49.0%로 가장 많았다.

 

효과에 대한 불신13.5%로 나타나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한 기업의 인식을 높이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부산의 오픈이노베이션 여건에 대해서는 응답 업체 292개사 중 부정적 응답이 72개사로 긍정적 응답 20개사에 비해 4배가량 많은 응답비중을 보여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한 지역 차원의 적극적인 여건 조성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여건이 나쁘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기업과 기술의 수도권 편중(36.7%), 정보 부족(20.0%), 인력 수급의 한계(16.7%) 등을 주요인으로 지목했다.

 

지역 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오픈이노베이션 방법으로는 전체 응답기업의 71.6%가 대기업과의 협업을 꼽았다.

 

이는 대기업과의 협력 또는 거래관계가 많은 지역 중소기업의 특성상 기술 개발과 유통 등의 과정에서 대기업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외부연구기관(7.9%), 벤처스타트업(5.5%), 대학(3.4%) 등과의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한 관심은 낮았다.

 

오픈이노베이션의 성공을 위해서는 경영진의 전략과 목표(34.9%)에 대한 응답 비중이 가장 높았다.

 

오픈이노베이션 도입자체가 외부와의 협업 및 내부자원의 공유 등 기업경영 측면의 중요한 의사결정이 동반되는 만큼 경영진 주도의탑다운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최근 많은 기업들이 기술 변화에 민감한 IT, 플랫폼, 제약바이오 등의 분야에서 스타트업과 협업을 통해 오픈이노베이션 성공사례를 만들고 있다면서 지역기업들도 혁신성장을 위해 스타트업, 대학 등 협업 주체들과 적극적으로 오픈이노베이션을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지학 협력모델 확대 등 지역 차원의 지원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kjo571003.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정옥 기자 보도본부

kjo571003@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