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녹산국가산단, 스마트그린산단 전환 '신호탄'

전국 입력 2022-02-15 21:21:50 유태경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친환경·디지털기반 동남권 첨단산업 선도 산단 육성

오는 2026년까지 15개 사업 4,082억 원 투입

부산시청 전경. [사진=부산시]

[부산=유태경기자] 부산시가 '부산녹산 스마트그린산단 사업단'을 출범, 운영으로 그린스마트 도시 실현에 박차를 가한다.


부산시는 한국산업단지공단과 함께 녹산국가산단을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전환하기 위해 본격적인 사업단 운영을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스마트그린산단은 정부의 한국판뉴딜 대표 과제로, 지역 노후산단을 스마트 친환경 제조 공간으로 전환하는 사업이다. 지난 2019년 창원, 반월시화산단을 시작으로 현재 부산 녹산산단을 포함해 전국에 7개 산단이 지정돼 있다.


녹산국가산단은 지역경제와 산업물류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부산 유일의 국가산단으로, 지난해 3월 산단대개조의 거점산단과 스마트그린산단으로 동시 선정됐다.


이번에 추진하는 녹산스마트그린산단 조성사업은 산단 제조혁신, 스마트그린 전환, 청년친화형 산단이 목표다. 시는 녹산산단을 ▲스마트화를 통한 '디지털 선도 단지' ▲산단인프라 개선을 통한 '스마트그린 물류 단지' ▲일자리 생태계 강화 등을 통한 '청년친화형 인재양성 단지'로 변모시킬 계획이다.


시는 오는 2026년까지 ▲스마트산단 제조혁신 기반 구축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스마트 편의시설확충 등 9개의 디지털 전환 사업 ▲에너지 자급자족형 인프라 구축 ▲스마트에너지 플랫폼 구축 등 3개의 에너지자립화 사업 ▲스마트 가든볼 사업 ▲산단환경개선펀드사업 등 3개의 친환경 기반 조성사업 등 총 4,082억 원 규모의 15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오는 2026년까지 녹산국가산단의 ▲생산유발효과 8,066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679억 원 ▲고용유발효과 5,552명 등 3대 성과 목표를 선정했다. 이를 위해 지역혁신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체계로 탄소중립 산단화를 위한 신규사업 발굴 및 국비 확보에도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시는 산단대개조 사업도 총 32개 사업 1조691억 원으로 최종 확정했다. 거점산단인 녹산국가산단, 연계산단인 사상공업지역, 신평장림산단, 연계지역인 지사지역을 스마트 물류 연계 스마트 그린 모빌리티 핵심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허브단지로 변화시킬 계획이다. /jadeu081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