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 옐런발 금리 인상 전망에 들썩 “부동산·코인 가장 타격”

금융 입력 2021-05-07 20:37:28 정순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의 '금리 인상' 발언을 비롯해 예상보다 빠른 경기 회복세 등으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조짐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향후 미 금리 인상 시 초래될 수 있는 국내 자산시장 불안 등에 정부가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모으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향후 금리 전망 금융부 정순영 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안녕하십니까.


[앵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의 금리 인상 필요성에 대한 발언을 놓고 세계가 들썩였는데요. 후폭풍이 컸는지 미국 연준 인사들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지하는 의견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리처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은 어제 CNBC에 출연해 "우리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면서 미국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회복되는 과정에서 완화적인 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옐런 재무장관의 발언과 관련해서도 "정책을 조언하거나 예측한 게 아니라고 했다"면서 연준의 자산 매입 속도도 유지되는 게 좋다는 생각을 덧붙였습니다. 앞서 옐런 장관은 4일 '미래경제서밋' 녹화 인터뷰에서 "경제가 과열되지 않도록 금리가 다소 올라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가. 금융시장이 출렁이자 같은 날 오후 “금리 예측이나 권고가 아니”라며 진화에 나선 바 있습니다. 다른 연준 고위 인사들의 통화 완화 지지 의견도 잇따라 전해졌는데요.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또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은 총재는 "현재의 정책이 적절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는 당초 전망보다 빠른 속도로 GDP가 증가하고 실업률이 떨어지고 있다면서도 "인플레이션은 억제될 것으로 생각되고 현재의 완화적 기조는 적절하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연준에서 황급히 진화에 나선 모양샌데요. 일각에선 올해 11월이나 12월 금리 인상을 점치고 있더라고요. 나중에 사태가 커지기 전에 우리나라도 미리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죠.


[기자]

네. 전문가들은 옐런 장관의 발언이 세계 경제에 던지는 주요 시그널이라는 점에 한 목소리로 동의했는데요. 막대한 재정 지출과 예상을 웃도는 성장률로 실물 경제가 과열 조짐을 보이자, 옐런 장관이 연준을 비롯한 경제 주체들에게 '미리 대비하라'는 신호를 보낸 것이라는 해석입니다. 따라서 향후 미 금리 인상 시 초래될 수 있는 국내 자산시장 불안 등에 정부가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백신 접종 속도가 성장률을 결정짓는 상황이기 때문에 백신 접종 수요가 커지면 물가와 인플레도 따라올 수 있고 결국에는 금리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이렇게 미국의 인상 신호가 강해지면 우리나라는 연내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갑니다. 이미 우리나라는 코로나로 금리를 더는 내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내린 상태기 때문에 백신 접종이 끝나는 12월 정도면 금리 인상 이슈가 생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 물가 상승률이 2%대, 성장률도 3% 중후반 정도면 금리 인상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앵커]

기준금리를 올리면 과열된 실물 경제를 잡고 인플레 우려도 해소할 수 있긴 하지만 경제 전반이 흔들리게 될 텐데요.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분야는 어느 쪽일까요.


[기자]

유동성을 기초로 상승장을 이어온 증시는 물론 부동산, 암호화폐 등 자산 시장 전반이 들썩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금리 인상 움직임이 가시화되기 시작하면 실제 금리가 올라가지 않더라도 자금 시장 거품이 전반적으로 꺼지기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경제 기초여건에서 먼 쪽부터 거품이 꺼지게 되는데, 암호화폐부터 거품이 꺼지기 시작하고 이어서 거품 낀 주식, 그리고 부동산 시장도 들썩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중 가장 타격을 받는 곳은 부동산일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미 많이 오른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 거시경제에 더 큰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그래도 미국이 금리를 올릴 때 우리나라도 정치적인 문제 등으로 주저할게 아니라 미리 예방주사를 맞는 식으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앵커]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이미 상당한데요. 금리가 인상되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죠. 가계에 미치는 금리 인상 영향은 어느 정도일까요.


[기자]

가계 부채와 부동산 위주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가계대출자 10명 중 7명이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금리인상 시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초저금리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고공행진한 것인데요. 변동금리 가계대출자 비중은 50% 초반을 유지하다가 지난해 4월부터 60%로 올랐는데 올해 들어 미국 국채 수익률 급등에 따라 인플레이션 우려감이 커지면서 분위기가 바뀌고 있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 자금 수요와 함께 '빚투', '영끌' 바람으로 가계대출이 한껏 부푼 상황이어서 금리가 오르면 부실이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부문별로 다르겠지만 상환능력이 거의 없는 자영업자 등 파산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은행권으로 리스크가 전이될 것으로 보입니다. 자산시장 거품이 먼저 빠지고 금융 당국이 신용대출을 조이면 가계부채 문제의 기폭점이 될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앵커]

지금이야말로 정부와 금융 당국의 '테이퍼링' 전략이 필요한 시기로 보입니다. 어떤 대비가 우선돼야 할까요.


[기자]

정부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의 원리금 상환을 유예해 놨기 때문에 올해 중순쯤 되면 상황이 안 좋아질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동안 유동성과 재정 지출을 늘려온 상황을 어떻게 테이퍼링할 것이냐는 계획을 세우고 주식시장과 암호화폐 시장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금리 인상 가능성에 정책적으로 대비하되, 당국이 앞장서서 대출 규제로 신용 경색을 유발하기보다는 일부 취약 계층을 제한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펴야 가계부채나 전체적인 구조조정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지난해 은행 정기 예적금 통장 개수가 14%나 줄었다고 하죠. 주식이나 암호화폐 시장으로 돈이 움직였다고 하는데요. 이제는 조금씩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언제쯤 금리인상이 진행될지 주의깊게 지켜봐야겠습니다. 잘 들었습니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