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개미 '셀트리온 反공매도' 운동 꿈틀…한국의 '게임스톱' 되나

금융 입력 2021-02-01 14:46:20 양한나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서울경제TV=양한나기자]

미국 증시에 상장된 ‘게임스톱’이 서학 개미들의 단합된 매수로 단기간에 최고 1700% 오르면서 공매도 세력이 백기항복을 하자 국내 동학 개미들도 이를 따라 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공매도에 반감을 가진 개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 종목중 공매도 금액 1위인 ‘셀트리온’에 관한 포스팅을 최근 크게 늘리고 있는 것이다. 


1일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는 지난 1월21일부터 30일까지 열흘간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2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셀트리온 + 공매도’ 키워드와 ‘셀트리온 + 동학’ 두 조합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 공매도’ 포스팅 수와 셀트리온 공매도 세력에 대한 동학개미의 ‘反공매도’ 흐름을 측정하기 위한 설정이다. 분석방법은 ‘셀트리온’과 ‘공매도, 동학’ 키워드 들간에 한글 15자 이내인 경우만 결과값이 나오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포스팅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분석 결과 게임스톱이 이슈화된 1월27일 이전 ‘셀트리온 + 공매도’ 포스팅 수는 일별 127~251건에 그쳤으나 27일 이후엔 최소 316건에서 최대 623건으로 두 배 이상 크게 늘었다. 특히 휴일인 1월30일에 최대 포스팅수를 보인게 눈에 띈다. 평일이었다면 더 늘었을 수치다.


셀트리온 공매도 세력에 대해 게임스톱 처럼 매수 운동을 펼치자는 포스팅의 핵심 키워드들인 ‘셀트리온 + 동학(反공매도, 개미, 운동 키워드 등 포함)’ 포스팅 수는 1월 26일 이전엔 17~52건에 그쳤으나 게임스톱이 이슈가 된 27일엔 480건으로 일 평균 대비 10배 이상 폭증했다. 다음날인 1월28일에도 95건을 기록했으며 휴일인 1월30일에는 185건으로 더욱 늘어 셀트리온 매수 운동이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실제 네이버금융, 팍스넷, 씽크풀 등 커뮤니티와 트위터 등 SNS에서 투자자들은 “미국 게임스톱에서 시작된 ‘반(反)공매도 운동’의 불씨가 한국으로 옮겨붙을 것”이라면서 “그동안 공매도 제도 폐지를 주장해온 국내 투자자들은 셀트리온을 ‘한국판 게임스톱’으로 만들겠다”며 여론 지피기에 나선 모습이다. 이와 관련 1월31일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역시 “공매도 제도를 개선하지 않는다면 공매도가 많은 ‘셀트리온’과 ‘에이치엘비’를 중심으로 단체 주주 행동에 나서겠다”고 언론에 밝히기도 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이들 두 키워드 조합에 대한 국민들의 정서다. ‘셀트리온 + 공매도’ 키워드 조합의 경우 긍정률이 10.1%에 그친 반면 부정률은 무려 52.5%에 달했다. 셀트리온 공매도에 대해 예상보다 큰 반감을 가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반면 ‘셀트리온 + 동학’ 키워드 조합의 경우 긍정률은 42.8%인데 비해 부정률은 30.4%에 그쳐 긍정률이 부정률 보다 훨씬 높았다. 사실상 反공매도 운동에 대해 내심 반기거나 동조한다는 의미로도 해석할수 있는 부분이다.


한편 국내 상장 주식중 공매도 금액 톱10은 지난 1월27일 기준 ▲셀트리온(2조1463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3262억원) ▲에이치엘비(3138억원) ▲삼성전자(2851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2291억원) ▲케이엠더블유(2177억원) ▲현대차(2023억원) ▲LG화학(1544억원) ▲넷마블(1521억원) ▲LG디스플레이(1482) 순이다. 셀트리온의 공매도 금액은 2위인 삼성바이오로직스 보다 무려 6.57배나 많다.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 의하면 셀트리온 공매도 주체는 골드만삭스 인터내셔널, 메릴린치 인터내셔날, 모간 스탠리 인터내셔날 피엘씨 등이다.


김희정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이사는 “한국의 경우 ‘없는 주식을 고가에 팔아 주가를 떨어뜨린후 줍줍해서 이익 챙기는 공매도 제도’가 개인 투자자에게 매우 불리하게 돼있다”면서 “공매도 폐지가 어렵다면 △증거금 제도 보완 △공매도 기간 제한 △보고 요건 강화 △개인 대주 제도 활성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