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원전해체산업 키운다.. 원전해체·핵폐기물 관리기업 수혜

산업·IT 입력 2019-08-21 09:49:54 이민주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탈원전 정책의 일환으로 원전해체산업 본격 육성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는 지난달 24일 종로구 석탄회관에서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를 개최하고 원전 해체분야 기업에 연구 및 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2022년까지 약 1,600억 원 규모의 조기발주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4월에는 '원전해체산업 육성 전략'을 통해 2035년 시장점유율 10%를 달성, 세계 5대 원전해체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산자부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설계 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은 총 12기(고리1·2·3·4, 월성1·2·3·4, 한빛1·2, 한울1·2)에 달할 전망이다. 첫 원전해체 사례로 꼽히는 고리1호기의 해체 시점은 2022년이다.

이에 원전해체·폐기물 관리 등 '후행주기' 산업역량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원전산업은 설계·건설 등 선행주기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치우쳐 있어 후행주기 산업기반이 한참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미국 컨설팅업체 베이츠화이트는 세계 원전해체 시장 규모가 2050년까지 327조 원 규모로, 2116년까지 549조 원 규모에 이른다고 내다봤다. 국내 시장 잠재력도 22조5000억 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세계 최초의 주강방식 핵폐기물 컨테이너 1호기를 성공적으로 제작하며 원전해체산업에 뛰어든 대창솔루션은 캐나다 브루스 핵발전소에 꾸준히 핵폐기물 컨테이너를 납품하고 있다. 대창솔루션의 컨테이너는 주강방식으로 제작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원전 폐기물 저장설비에 비해 저장 공간 활용도가 크게 개선되고 핵폐기물을 저장한 채로 장거리 수송을 할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혁신적인 기능 향상으로 세계 유수의 핵발전소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핵폐기물 컨테이너 사업뿐아니라 기존에 영위하던 선박부품 및 발전플랜트 기자재가 본격 출하되며 수익성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세계 최초의 주강방식 핵폐기물 컨테이너 제작에 성공하며 핵폐기물 저장용기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자랑했다”며 “이러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원전해체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오르비텍은 비파괴검사 등 분석업을 목적으로 1991년에 설립된 업체로 2007년 상반기에 방사선 관리용역을 시작해 원자력산업에 진출한 코스닥 상장기업이다. 방사선 폐기물 해체, 방사선 계측사업, 원자력 가동전 검사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안정적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2017년에는 원자력연구원으로부터 방사선 오염 제거 관련 핵심기술 가운데 하나인 원전 해체 폐기물 처리기술로 전문기업에 선정되는 등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에서 원전해체산업을 새 먹거리로 선택한만큼 정부와 관련 부처의 적극적이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업체 역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원전해체산업 인프라 구성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