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자원 보고·중국 '일대일로' 중간거점… '미지의 땅' 아닌 전략기지로 삼아야

경제·사회 입력 2015-04-28 17:59:46 하바롭스크=민병권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시베리아횡단철도(TSR)의 종착역인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차를 타고 10시간 넘게 달리면 차창 밖은 자작나무숲으로 하얗게 보인다. 영화 '닥터 지바고'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하지만 옆자리에 앉은 중국인 동포의 말이 상념에서 깨어나게 한다. "저 보래요. 저거 베어서 가져가면 다 돈이지요." 유라시아 경제벨트의 동쪽 끝에 자리잡은 하바롭스크는 거대한 목재 원산지로 일본이 A급 목재를 확보하고 나면 B급과 폐목재는 온전히 중국 목재상들 차지라고 그는 전했다.

# 중국 베이징에서 서부로 3,000㎞ 떨어진 신장위구르자치구 우루무치. 과거 한화의 무수망초 공장, SKC의 휴대폰 조립공장과 대우종합기계(현 두산인프라코어)가 이곳에 진출했지만 지금은 모두 철수한 상태다. 현재는 중국 기업이나 중국·러시아 합작기업들이 이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유라시아 경제벨트가 신시장으로 주목되고 있지만 한국 기업들에는 여전히 미지의 땅이다. 한때 '팔도라면' '오뚜기 마요네즈' 등이 소비시장을 파고들었지만 이마저도 값싼 중국산 제품에 밀렸다. 자동차와 스마트폰 역시 일본 도요타와 닛산, 미국의 애플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극동지역 전문가들은 하바롭스크·연해주의 경우 단순한 수출시장 이상의 경제적 의미가 있다고 분석한다. 하바롭스크와 연해주는 천연자원 보고인 극동지역의 교두보로 인접한 중국과의 물류접점 및 유라시아 수출 전진기지이기 때문이다. 특히 러시아는 최근 극동지역에 대한 원유 생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KOTRA에 따르면 하바롭스크주에만도 총 매장량이 50억~60억톤에 달하는 대규모 원유 및 가스 대륙붕이 있다. 비아체슬라프 쿠슈나레프 하바롭스크 투자개발청장은 "하바롭스크는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 매력이 있는 곳"이라며 농업·임업은 물론 건설이나 호텔 투자사업도 유망하다고 설명했다.

러시아과학아카데미(ERI) 극동경제연구소(FEB RAS)의 파벨 미나키르 소장은 러시아 극동지역에 인내심을 갖고 뚝심 있게 투자해온 일본을 한국이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일본은 냉전시대부터 대규모 원조투자에 나서 현재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극동지역 직접투자액은 지난 2008년 6억4,809만달러에서 2013년에는 23억4,157억달러로 급증했다.

중국의 서쪽 끝인 신장지역에 대한 투자도 새로운 시각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일대일로의 중간거점이자 유라시아 경제벨트의 배꼽인 신장지역은 민족갈등의 여지가 있는 중국 기업보다 한국 등 아시아 기업들에 훨씬 더 많은 기회를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일대일로를 이용해 중국 주변 국가를 공장으로, 중국을 이제 시장으로 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장사회과학원의 한 연구원은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 아니라 세계의 시장"이라며 "일대일로는 중국이 유라시아로 뻗어 나가는 교두보지만 동시에 주변 국가가 중국을 공략할 수 있는 전략적 루트가 될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우루무치=김현수특파원

하바롭스크=민병권기자 hskim@sed.co.kr

[ⓒ 한국미디어네트워크(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