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것들에 대하여ㆍㆍ정경숙 작가 전시회에서

S문화 입력 2021-05-12 10:33:21 박진관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 정경숙 작가]

여러 가지 그림 재료들 작가가 굳이 파스텔을 선택한 이유는 재료적 특징 때문이다.

 

파스텔은 피그먼트를 스틱형으로 뭉쳐 손으로 잡고 그리기 쉽게 만들어졌다. 하지만 그림을 그리다 보면 화면에 붙는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가루로 부서져 바닥에 수북이 쌓인다. 이를 바라보면 마치 허무한 인생을 보는 듯하다.

 

화면에 붙어 살아있는 일부의 존재성. 버려지는 가루를 허투루 여기지 않고 작품으로 다시 남기는 귀한 재생의 작업. 작가는 새로운 희망과 마주하기 위해 하찮은 것에서 다시 생명을 건지는 창작을 즐긴다. 이것이 작가의 인생철학이다.

 

파스텔은 오롯이 손가락을 사용해서 표현된다. 그냥 스틱으로 그려놓으면 얼마 가지 않아 밀착되지 못하고 부스스 흔적만 남기고 날아가 버린다. 반드시 손으로 문지르고 정성을 들여야 정성들인 만큼 남게 되고 실체는 선명해진다.

 

숱하게 손가락으로 문지르기를 반복하는 작업. 종반에는 손가락이 갈라지고 피가 나는 고통을 참아야 하는 일이 다반사다.

 

우리네 삶의 방식이 그렇지 않을까? 쉽게 얻는 보이지만 결코 쉽게 얻어지는 것은 없다. 그러한 삶을 체득하게 된다는 이유로 파스텔이라는 재료의 매력에 빠졌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진= 정경숙 작가]

지난 번의 정경숙 작가의 개인전에서는 장지 위에 바탕처리를 하고 돌가루를 바른 거친 표면에 파스텔을 밀어 넣어 두께감과 깊이를 표현했다.

 

파스텔의 재료적 특징은 가볍고 부드럽다는 것이다. 두께 보다는 얇은 느낌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작가는 그런 고정 관념을 깨고 싶어 바탕을 거칠게 하고 사이사이에 색들을 밀어 넣었다. 쌓여진 색들이 은근하게 시간의 깊이와 두께를 발산하도록 했다. 작업 방법은 표현을 위한 재료 사용의 억지스러움과 두께감이라는 강박 때문에 답답함을 낳기도 했다.

 

작가의 지난 작업들이 거친 바탕에 색을 밀어 넣어 차곡차곡 쌓아 밀착 시키는 것이었다면, 이번 작업은 얇게 발라서 스며든 시간의 안착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작업하는 동안 파스텔을 사용하여 묵직함과 두툼함을 추구하다 보면 한편으로는 반대 감성이 솟기도 한다. 얼핏 보면 가벼워 보이지만 겹이 느껴지는 표현을 하고 싶다는 작가의 욕구. 겹은 시간 또는 세월이라 말할 있다.

 

작가가 살아온 삶의 무게가 더해진 이유 때문이었을까? 때로는 표현의 욕구 묵지근한 기운이 작가에게 답답함과 막힘 그리고 우울함으로 다가오기도 했다. 요즘은 가볍고 여유롭고 편안해지고 싶은 마음이 작가를 이끌고 있다고 한다.


이전의
작업들이 조금 억지스럽고 거칠었다면 이번 전시작품은 차분한 정적 속에 조금씩 변화할 같은 평온의 시간을 담았다고 있다.

깊은 어둠 속에 퇴적되어 쌓인 물속의 시간. 활개 치는 잉어의 화려한 시간과 하늘의 변화되는 시간들. 세한의 시간을 버텨내고 화려하게 피어난 매화의 절정. 이들과 함께 사는 우리 또한 자연의 일부이다.

 

그림을 만나면 어려움을 이겨낼 있다는 사실을 배울 있다. 인생의 어둡고 터널이 끝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박진관 기자 noamd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