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리버리, 글로벌 Top3 제약사와 신약개발 플랫폼 원천기술 FSA 계약

증권 입력 2019-10-10 11:35:48 이소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포막 전송 펩타이드 aMTD (빨간색)가 생체 내 병든 세포 (핑크색) 안으로 약리물질 (파란색)을 전송하는 모습./사진제공=셀리버리

셀리버리는 글로벌 Top3 제약사 중 한 곳과 세포-/조직- 투과성 바이오신약 개발을 위한 자사 플랫폼 원천기술의 검증시험(FSA)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회사 측은 “FSA 계약 체결은 플랫폼기술의 라이센싱아웃(L/O)의 마지막 단계”라며 “개별 신약승인 과정과 비교한다면 후보물질의 FDA 승인 후 글로벌 3상 진입과 같은 의미의 최종검증단계”라고 설명했다. 


셀리버리의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 TSDT 플랫폼기술’은 대부분의 질병을 일으키거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타깃이 존재하는 세포 내로 약리물질 (단백질·핵산·펩타이드·항체 등)을 전송시켜 약리물질을 신약화(化)시킬 수 있는 첨단 바이오 신기술이다. 셀리버리는 공격적으로 자사의 플랫폼기술 및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라이센싱을 추진해왔는데, 이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로 글로벌 Top3 제약사 중 한 곳과 TSDT 플랫폼기술의 검증시험 계약 (FSA)을 체결한 것이다.


계약을 맺은 글로벌 제약사는 TSDT 플랫폼기술을 적용해 특정 암유발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세포투과성 항암 항체신약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최종 검증시험 프로그램으로 제시했다. 검증시험의 모든 단위 실험들은 글로벌 제약사 연구소 및 회사에서 따로 계약한 제3의 위탁연구기관에서 객관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검증실험이 성공할 시 해당 글로벌 제약사는 TSDT 플랫폼기술을 비독점적(Non-Exclusive) 또는 완전 독점적으로 라이센싱아웃(Exclusive L/O)해 자사의 광범위한 신약 프로그램에 적용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이렇게 도출된 신약후보물질들은 개별 라이센싱의 대상이 된다”고 말했다.


기존 항체 치료제는 생체 내 조직 및 세포로 전송될 수 없으므로 혈류 속에서 혈액세포와 혈관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리간드(ligand)와 수용체 (receptor)에 대한 항체만 개발 가능했다. 하지만 질병을 일으키고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개발 타깃들의 95% 이상은 생체 깊숙한 장기나 조직의 세포 내부에 존재하므로 타깃들의 항체가 세포 내부로 들어갈 수만 있다면, 항체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획기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것이 현재 글로벌 제약사들의 의견이다. 실제로 글로벌 제약사들은 이러한 기술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셀리버리 관계자는 “이번에 계약한 글로벌 제약사는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이 셀리버리의 TSDT 플랫폼기술이라는 전제 하에 이번 최종 검증시험 계약을 진행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대웅 셀리버리 대표는 “최근 수년간 글로벌 다국적 제약사인 일라이릴리, 로슈, 화이자, 존슨앤존슨 등의 항체신약 후보물질들의 잇단 임상 실패와 지난 3월 바이오젠의 알츠하이머병 항체신약 임상 3상 실패의 궁극적 원인은 항체가 혈뇌장벽(BBB)을 포함한 인체의 혈관 시스템을 벗어나서 조직으로 그리고 세포 내로 전송될 수 없다는 것에 기인한다”며 “TSDT 플랫폼기술을 적용해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해 생체 내 전송을 가능케 하는 것이 암과 퇴행성뇌질환 같은 불·난치성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다만 “이번에 계약 체결한 글로벌 제약사는 매우 보수적인 사풍으로 회사명은 물론 계약의 자세한 내용 및 경쟁상대에 대한 일체의 정보를 밝히지 못하게 해 부득이하게 제한적인 정보만을 공개할 수밖에 없었음을 이해해달라”고 덧붙였다.  /이소연기자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