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사우디 사태 여파 “유가 오르면 성장률 하락”

산업·IT 입력 2019-09-18 16:25:22 수정 2019-09-18 20:04:05 김혜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제공=서울경제TV

[앵커]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시설이 피격되면서 유가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습니다. 일부에서는 국제유가가 10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같은 유가 상승이 한국 경제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는데요. 보다 자세한 이야기 경제산업부 김혜영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우선, 유가를 둘러싼 상황부터 설명을 좀 해주시죠.
 

[기자]
지난 14일이였죠. 사우디의 최대 석유 시설 두 곳이 드론의 공격을 받아 가동이 중단됐습니다.
생산량 차질이 불가피해진 겁니다.
이 때문에 국제 유가가 한때 20% 가까이 뛰기도 했는데요.
국제 유가가 요동치면서 각국에서는 이를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우려가 커지자, 사우디 정부는 현지시간 17일 피격으로 줄어든 석유 생산량을 절반 이상 회복했고, 이달 말까지는 복구를 완료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그러나, 생산량 급감에 대한 우려는 여전한 상황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런 사우디 정유시설 피격과 관련해 이번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이 궁금해지는데요.
 

[기자]
유가 상승은 국내총생산(GDP)에 시차를 두고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됐는데요.
먼저,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2017년 내놓은 보고서를 살펴보죠.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이 분기 평균 배럴당 53.9달러에서 70달러로 오를 경우 1년 후 한국 실질 GDP가 0.59%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WTI 가격이 60달러까지 오를 경우 0.22%, 80달러까지 치솟을 때는 0.96% 줄어든다고 봤습니다.

한국은행도 비슷한 연구결과를 내놨었는데요.
한은은 유가가 10% 올라가면 GDP 성장률이 첫해에 0.1%포인트, 이듬해에 0.24%포인트 각각 하락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국제유가가 상승한다고 해서 이처럼 GDP가 나빠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기자]
이게 그야말로 악순환인데요.
일단은 원유 공급이 줄어들면 가격이 당연히 오르겠죠.
특히, 국내 경제의 경우 유가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지니고 있거든요.
기업들의 생산비용이 오르고 채산성이 나빠집니다.
투자·소비심리도 악화되는거죠.
관련 인터뷰 들어보시죠.
 

[인터뷰]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위원
“생산 원료비가 올라갈 것이라는 예상이 생기면 (기업들이) 투자를 하기가 어려워지는 거고요. 휘발유 가격도 올라갈 수 있는 거고 어쨌든 기업이 만들어낸 원료비 상승이 물건 가격 상승으로 그게 가격 부담이 되는 거죠. 소비자들 입장에서도 소비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준다거나, 이런 것 때문에 투자와 소비지출의 감소로 전체적인 GDP가 감소하는 거죠.”
 

국회예산정책처가 지난해 5월 내놓은 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

원유 수입가격이 10% 상승하면 국내 산업 생산비용이 0.57% 늘어난다고 봤습니다.
특히 석유제품의 생산비용이 7.44%, 육상운송 1.11%, 화학제품은 1.01% 오른다고 분석했는데요.
결국, 원유 의존도가 높은 산업부터 생산비 상승, 수익성 악화를 겪을 수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성한경/서울시립대 교수
“국제유가가 올라가면 우리 입장에서는 수입 물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죠. 전반적으로 생산비가 올라가죠. 생산단가가 우리나라가 만들어 내는 제품들에, 그렇다 보면 전반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죠. 우리 입장에선 유가가 올라가면은 아무래도 수입이 늘어나니까…”
 

[앵커]
그렇다면, 우리 정부 입장은 어떻습니까? 대책을 마련하고 있나요?
 

[기자]
정부에서는 사우디 사태로 인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김용범 기재부 1차관은 “사우디산 원유는 대부분 장기계약 형태로 들여오고 있고, 국내 정유업계 점검 결과를 보더라도 원유 선적 물량과 일정에는 아직 큰 차질이 없다”고 말했는데요.
 

그러나, 사태가 장기화되면 재고 방출을 검토하겠다고도 언급했습니다. 
상황이 장기화할 가능성에도 대비가 필요하다며 원유 수급 상황이 악화할 땐 정부와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전략 비축유와 재고 방출을 검토하는 등 수급 안정 조치를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유류세를 다시 내리는 방안에 대해선 선을 그었는데요.
유류세 인하 재논의 가능성에 대해선 시기상조라며 일축했습니다. /김혜영기자  jjss1234567@naver.com

[영상편집 김담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혜영 기자 증권부

jjss1234567@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