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총인구 10년 후부터 감소”… 빨라진 인구위기

경제·사회 입력 2019-03-28 15:11:08 수정 2019-03-28 15:45:02 유민호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국내 총인구가 10년 후 감소할 것이라는 정부 전망이 나왔다. 

 

통계청이 28일 공개한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자료를 보면 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 양상에 따라 미래 인구 변화를 30가지 시나리오로 추정한 결과 중위 추계 시나리오의 경우 총인구(71일 기준, 이하 동일)20285,194만명으로 정점을 찍고, 2029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한다.

 

중위 추계는 인구 변동에 영향을 주는 출산율, 기대수명, 국제순이동이 중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가정을 토대로 작성됐으며 30가지 시나리오 중 인구 변화의 현 추세에 가장 부합한다고 통계청은 판단했다.

 

중위 추계에 따르면 총인구는 20175,136만명인데 2067년에는 3,929만명으로 줄어든다. 1982년 수준으로 축소하는 것이다. 2016년에 발표한 인구추계의 중위 시나리오와 비교하면 총인구 감소 시점은 3년 앞당겨졌다.

 

당시에는 총인구가 20315,296만명으로 정점에 달한 후 2032년부터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는데 최근 출산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인구 전망이 더 어두워진 셈이다.

 

인구의 국제이동을 제외하고 사망자와 출생아 숫자만 보면 올해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한다. 7월부터 다음 해 6월을 기준으로 201735만명이던 출생아 수는 올해 31만명, 2067년에는 21만명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망자는 201729만명, 201931만명, 2067년에는 74만명 정도로 전망된다. 2067년이면 사망자 수가 출생아의 약 3.5배가 되는 셈이다. 천명 단위까지 파악해보면 올해 사망자는 출생아보다 5,000명 정도 많다.

 

2016년에 발표한 중위 추계에서는 자연감소가 2029년에 시작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저출산 추세가 가속하면서 10년 앞당겨졌다.

 

출산율, 기대수명, 국제순이동 등 3요소가 높은 수준이라고 가정한 고위 추계 시나리오의 경우 총인구는 20365,375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37년부터 감소하며 2067년에는 4,547만명(1996년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3요소가 낮은 수준이라고 본 저위 추계 시나리오에 따르면 2019(5,165만명)에 총인구가 정점에 달하고 내년부터 감소해 2067년에는 3,365만명(1972년 수준)까지 줄어든다.

 

고위 추계는 30가지 시나리오 중 인구가 가장 천천히 감소하는 상황을 가정했고, 저위 추계는 가장 빨리 줄어드는 경우를 가정한 전망이다중위 추계의 경우 지난해 0.98명이던 합계출산율이 20210.86명까지 떨어진 후 20401.27명까지 회복해 이후 비슷한 수준이 이어진다는 가정을 전제했다. /유민호기자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