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뿐 아니라 대도시도 없어진다?

경제·사회 입력 2018-08-13 16:27:00 수정 2018-08-13 19:56:11 고현정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몇 년 전 일본의 학자 마스다 히로야가 인구감소로 인한 도시 소멸 문제를 짚으며 ‘지방소멸’이라는 개념을 소개해 세계적으로 충격을 안겨줬었죠.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닌데요. 농어촌 일부 지역에서만 있는 일일 거란 보통의 생각과는 달리 최근 광역 대도시권도 소멸위험지역에 이름을 올리면서 보다 세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고현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저출생과 고령화로 인해 지방 도시가 소멸하는 현상이 광역 대도시 권역으로 본격 확산되고 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부산 중구와 경북 경주시 등이 올해 새롭게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고 경남 사천시와 전북 완주군도 연내 소멸위험지역이 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미 재작년, 부산 영도구와 동구 등이 광역시 단위 최초로 소멸위험지역이 됐고 작년에는 경북도청 소재지인 안동시도 소멸위험도시에 진입한 바 있습니다.
지방 소멸 현상이 일부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벌어질 것이라는 공식이 깨지고 도청 소재지와 산업도시, 광역대도시로도 확산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겁니다.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 수로 나눠 0.5 미만일 때 소멸위험지역이 되는데, 전국 시군구 10곳 중 4곳은 이미 30년 이후엔 유의미한 경제사회공동체를 유지하기 어려운 것으로 해석됩니다.

[인터뷰] 이상호 / 한국고용정보원 평가기획팀 부연구위원
“지금 갑자기 또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지금 ‘소멸위험지역’ 안으로 들어오진 않았지만 거의 지금 경계 지역에 있는 곳들도 또 많거든요.”

지역별로는 현재 전남, 경북, 전북, 충남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부산의 경우 2013년 소멸위험 읍면동이 17곳(8.3%)이었으나 올해 58곳로 무려 20.1%p가 증가했습니다.
조선업, 자동차 등 지방 제조업의 위기로 고용위기지역이 된 지역의 인구 유출은 더 심화됐으며 이외에도 원도심 쇠퇴와 정주여건 악화가 청년층의 유출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지역균형 발전의 핵심 정책 중 하나인 혁신도시의 경우에도 5,60대 연령층에서만 일부 인구유입 효과가 있었고, 20대의 경우 오히려 순유출됐습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문제의 원인을 보다 세밀하게 파고드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뷰] 이상호 / 한국고용정보원 평가기획팀 부연구위원
“우리가 보통 청년 정책이라고 하면 다 동일하게 생각잖아요, 청년층을? (그런데) 예컨대 산업단지 같은, 남성 중심의 일자리가 생긴다고 해서 지방의 정주 여건이 청년들한테 좋아지는 것은 아니거든요. 그래서 젊은 여성들에게 좀 친화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는 그런 의미에서…”

급속한 경제 성장기를 지난 뒤의 지방 대도시들이 인구쇠퇴 국면을 맞아 도시 소멸로 이어지는 문제가 본격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고현정입니다./go8382@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